한겨레-부산국제 심포지움 “항만재생의 미래”
2015년 11월 19일(목요일)에 한겨레신문과 부산시가 공동으로 주최한 국제 심포지움이 해운데 누리마루 아펙에서 개최되었습니다. 본 행사에서 김정후 박사는 ‘항만재생의 미래’를 주제로 지속가능한 항만재생의 목표와 개념에 대해 …
2015년 11월 19일(목요일)에 한겨레신문과 부산시가 공동으로 주최한 국제 심포지움이 해운데 누리마루 아펙에서 개최되었습니다. 본 행사에서 김정후 박사는 ‘항만재생의 미래’를 주제로 지속가능한 항만재생의 목표와 개념에 대해 …
2015년 7월 17일(금요일)에 금호미술관의 초청으로 ‘도시와 건축의 정의(Justice)’를 주제로 강연했습니다. 김정후 박사는 ‘정의’의 관점에서 도시재생을 이해하는 방식을 오래 전부터 강조하고 있습니다. 아래는 본 강연을 취재한 중앙일보 …
2015년 7월 16일(목요일)에 시흥시의 초청으로 ‘유럽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’을 주제로 강연했습니다. 시흥시는 경기도에 소속된 자치단체 중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정체성을 갖지 못했지만 최근에 도시재생에 큰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. …
2015년 7월 14일(화요일)에 제주도청의 초청으로 ‘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교훈’을 주제로 강연했습니다. 제주도는 우리나라의 여타 도시와 다른 지역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기에 쇠퇴의 양상도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. 내륙 도시와 …
2015년 7월 21일(화요일)에 전주시의 초청으로 ‘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교훈’을 주제로 강연했습니다. 우리나라 지방도시 중에서 전주시는 가장 강력한 정체성과 역사성을 지닌 도시로 도시재생의 측면에서 큰 잠재력과 가능성을 보유했습니다. …
2015년 7월 10일(금요일)에 국회의 초청으로 국회의정연수원에서 ‘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도시의 미래’를 주제로 강연했습니다. 국회 의정아카데미의 일환으로 진행된 본 강연은 현직 국회의원과 국회 직원들이 참여하는 의미 있는 프로그램입니다. …
2015년 7월 8일(수요일)에 강원랜드의 초청으로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“산업유산, 도시를 되살리다”를 주제로 강연했습니다. 강원랜드 주변은 동원탄좌를 포함해 폐광시설이 산재해 있으나 적절한 재활용 방안을 찾지 못한 채 …
김정후 런던대 UCL 지리학과 펠로·한양대도시대학원 특임교수 역사적으로 전 세계의 많은 국가가 해상교역을 통해 발전했고 해상교역의 중추인 항만은 지역경제를 지탱했다. 특히 18세기 산업혁명을 거치며 항만 주변에 …
2015년 4월 9일(목요일)에 현대카드의 초청으로 여의도 사옥에서 임원들을 대상으로 “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도시의 미래”를 주제로 강연했습니다. 현대카드는 국내 기업으로는 매우 예외적으로 도시재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, 꾸준히 …
몇 해 전에 독일 남서부에 위치한 카이저슬라우텐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. 인구가 10만여 명에 불과한 카이저슬라우텐은 유럽은 물론 독일 내에서도 널리 알려진 명소가 거의 없는 작은 …