런던에서 만난 도시의 미래
버려진 산업유산이 열린 공공공간으로 바뀌고낙후됐던 동네가 지역 경제를 살리는 구심점이 되기까지!전 세계의 롤모델이 된 런던 도시재생의 비밀 런던은 도시재생의 출발지다. 15세기를 전후로 이미 명성과 부를 …
버려진 산업유산이 열린 공공공간으로 바뀌고낙후됐던 동네가 지역 경제를 살리는 구심점이 되기까지!전 세계의 롤모델이 된 런던 도시재생의 비밀 런던은 도시재생의 출발지다. 15세기를 전후로 이미 명성과 부를 …
2015년부터 인천광역시 부평구는 ‘부평음악도시 조성사업’을 추진 중이다. 한국 전쟁 당시 부평에는 주한미군의 보급물자를 관리했던 에스컴(ASCOM)이 자리 잡았고, 에스컴에 근무하던 미군들이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…
지난 5월 18일에 현대카드의 초청으로 혁신적 공유오피스인 강남의 스튜디오블랙에서 ‘도시와 기업의 사회공헌(Cities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)’을 주제로 강연했습니다. 현대카드에서 강연 내용을 요약 정리했습니다. TAG •
김정후 런던대 UCL 지리학과 펠로·한양대도시대학원 특임교수 역사적으로 전 세계의 많은 국가가 해상교역을 통해 발전했고 해상교역의 중추인 항만은 지역경제를 지탱했다. 특히 18세기 산업혁명을 거치며 항만 주변에 …
몇 해 전에 독일 남서부에 위치한 카이저슬라우텐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. 인구가 10만여 명에 불과한 카이저슬라우텐은 유럽은 물론 독일 내에서도 널리 알려진 명소가 거의 없는 작은 …
Dr Jeong Hoo Kim (University College London) The Sewol ferry disaster of April 16 clearly revealed that the development strategy we have pursued so far …
지난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는 분야를 막론하고 그동안 우리가 추구해 온 발전 방식이 지속 가능하지 못했음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. 도시도 예외가 아니다. 도시는 끊임없이 변하지만 변화가 …
부산의 청소년들이 직접 만드는 인문교양지인 인디고잉 42호에 학생들이 ‘발전소는 어떻게 미술관이 되었는가’를 읽고, 토론한 내용이 게재되었습니다. 제 책을 통하여 청소년들이 느끼기 바라는 메시지를 아래의 원고를 …
낡은 것은 없애는 것이 익숙한 도시. 이 도시에서 세월과 역사의 더깨를 고스란히 끌어안고 사라질 위기에 처했던 공장, 다방, 여관, 당구장, 창고 등 근∙현대 건축물들이 먼지투성이 …
‘유럽 산업유산 재생 프로젝트 탐구’라는 부제를 달고 돌베개에서 출간된 [발전소는 어떻게 미술관이 되었는가]는 10여 년 동안 런던에서 활동하고 있는 건축가이자 도시사회학자인 김정후 박사가 오랫동안 면밀히 …